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테슬라 Grok 챗봇 도입! 그렇다면 중국의 자율주행차는 어디까지 왔을까?

by 이므하나 2025. 7.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
테슬라가 자율주행 차량 내에 AI 챗봇 ‘Grok’을 탑재했다는 소식 들으셨나요?
운전 중에도 대화하듯 정보를 주고받고, 차량과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진짜 미래 느낌…! 

영화에서 본 던 것이 현실이 될 날이 얼마 안 남은 느낌이죠? 
이거 보고 나서 문득 궁금해졌어요. 테슬라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중국의 자율주행차들이요 

"중국은 자율주행차 어디까지 왔을까?" 생각보다 잘한다고 들었는데..... 

 

그래서 공부해 봤어요. 정리해서 공유해봅니다!


>>>중국 자율주행차 대표 브랜드 및 기술

중국도 AI·자율주행 기술 분야에서 굉장히 빠르게 발전하고 있어요. 종이돈도 거의 안 쓴다고 하죠..

어찌 보면 우리보다 더 앞서 있는 것 같기도 해요. 


그리고 중국은 이미 자율주행 택시를 실제 도로에서 상용화하고 있는 기업도 있고요.
대표 브랜드는 아래와 같아요 


1.  바이두(Baidu) – Apollo 아폴로

  • 중국판 ‘구글’이라 불리는 IT 공룡 바이두가 자율주행에 진심입니다.
  • 자체 플랫폼 이름은 Apollo (아폴로).
  • 이미 ‘Apollo Go’라는 이름으로 베이징·상하이·우한 등지에서 로보택시(자율주행 택시) 서비스를 실제로 운영 중이에요.
  • 레벨 4 수준 자율주행을 상용화하고 있으며, 운전석에 사람이 아예 없는 차량도 테스트 중이라는 점이 인상적이었어요!

자율주행 레벨

  • 레벨 4: 특정 조건에서는 운전자가 전혀 개입하지 않아도 차량이 알아서 주행 가능

2. 샤오미(Xiaomi) – SU7

  • 스마트폰으로 유명한 샤오미가 드디어 자동차도 만듭니다!
  • 첫 전기차 SU7을 공개했고, 디자인도 예쁘고 성능도 제법 괜찮아요.
  • 주목할 점은 ‘Xiaomi Pilot’이라는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되었다는 것!
  • 고속도로 자율주행은 물론, OTA(무선 업그레이드)를 통해 향후 도시 주행까지 지원할 예정이라고 해요.
  • 머지않아 “샤오미폰으로 샤오미차 조종하는 시대”도 오려나요? 

3. 화웨이(Huawei) – AITO M9, Luxeed S7

  • 직접 자동차를 만들진 않지만, 자율주행 시스템(ADS)을 다양한 브랜드에 제공하고 있어요.
  • 대표적인 적용 모델:
    • AITO M9: 세레스(SERES)와 공동 개발
    • Luxeed S7: 창안자동차와 협업
  • 고정밀 LiDAR(레이저 센서)와 AI 알고리즘으로 고속도로 및 복잡한 도심에서도 자율주행 가능
  • “화웨이 기술력은 자동차에서도 통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라고 합니다. 

4. Pony.ai (포니닷에이아이)

  •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자율주행 스타트업 중 하나예요.
  • 이미 미국(캘리포니아)과 중국(광저우, 베이징 등)에서 로보택시 실험 및 상용 서비스 중
  • 도요타, 현대차와도 협력 이력이 있어 글로벌 기술 파트너십도 강점을 가지고 있어요. 

중국 자율주행차의 특징 요약


보급 단계 로보택시 상용화(일부 지역)
기술력 레벨 3~4 중심, 일부 레벨 5 테스트 중
대표 기업 바이두, 샤오미, 화웨이, 포니.ai 등
강점 빠른 정부 허가 + AI 기술 융합 + 실제 테스트 많음
 

내 생각: 테슬라 Grok vs 중국 Apollo

테슬라는 AI + 차량 경험의 개인화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중국 기업들은 실제 자율주행 구현에 훨씬 많은 실전 데이터를 쌓고 있어요.

Grok 챗봇이 “말을 잘하는 차”라면,
ApolloPony.ai는 “말은 없지만 진짜 운전하는 차”에 가까운 느낌이랄까?

하지만 곧 중국의 자율주행차들도 테슬라처럼 되지 않을까요?  스파이가 있지 않겠습니까..... 


함께 보면 좋은 주식/ETF

 

테슬라(TSLA): AI 모멘텀 + 자율주행 챗봇 도입

Baidu (BIDU): Apollo 기술 보유

Global X 자율주행 ETF (DRIV): 자율주행 관련 종목 묶음

KraneShares China Innovation ETF (KTEC): 중국 테크기업 위주

 

 

 

 

반응형